건너뛰기영역

조선왕릉

서삼릉 학술이야기

서삼릉 태실 이야기

왕실의 출산 준비

태실이란 왕실에서 아기가 태어났을 때 그 태반과 탯줄을 묻는 석실(石室)을 말한다. 조선시대의 왕실에서는 아기가 태어나기 전에 산실청(또는 호산청)에 순산을 알리기 위한 동종을 설치하고 내부에 순산을 기원하는 부적을 붙인다. 짚과 종이, 족제비 가죽을 깔아 산모가 누울 자리를 준비하고, 천장에 말고삐를 건다. 산모가 아기를 출산하면 임금이 직접 종을 울리고 아기의 탯줄과 태반은 좋은 날을 택하여 깨끗하게 백 번 씻은 다음 미리 제작된 태항아리에 넣게 된다. 작은 항아리 바닥에 동전을 앞면이 향하게 놓은 후 그 위에 태를 놓고 기름종이를 항아리 입구에 덮는다. 그리고 다시 준비된 큰 항아리에 태가 든 작은 항아리를 넣어 태실까지 운반한다. 태실을 모실 곳은 풍수지리상의 길지로 신중하게 골랐으며, 태실을 모신 후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명의 관리인을 두었다.

태를 중요하게 여긴 이유

미리 정해진 곳에 태와 지석을 묻는 의식을 태봉(泰封), 장태(藏胎) 또는 안태(安胎)라고 한다. 그럼 왜 태어난 아기의 태를 이렇게 중요하게 다뤘을까? 당시 사람들은 태가 다음 아이를 잉태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믿었다. 따라서 부정 타는 것을 꺼려하여 재앙이 없는 방향에서 태우거나 묻었다. 한편 『태장경(胎藏經)』에서 기록하고 있는 태의 의미를 보면 귀인이 되고 못되는 것은 태에 달려 있으며, 어질거나 어리석게 되거나 쇠망하고 성하는 것은 모두 태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는 당시 조선 왕실의 생명 존중 사상을 나타낸다.

숙종의 태를 보관한 태항아리. 외항아리와 내항아리로 구성 되어 있다.

우리나라 태실의 역사

문헌에서 살펴보면 신라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전래되고 있다.
『세종실록』과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때 김유신의 태를 묻고 사당을 지어 고려 때까지 제사를 지냈고, 조선 태종 이후로는 지방관이 제사를 지냈다고 하였다. 고려시대 태실기록은 주로 고려 말기에 나타나는데, 원주시 치악 태봉에 공민왕의 태가 안태되었다는 기록 등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는 전국에 걸쳐 왕실의 태가 묻혔는데, 태실을 봉안했던 지역은 원태봉, 태봉리, 태봉산 등의 지명을 오늘날까지 쓰고 있다. 숙종대왕의 태실이 묻혀 있던 충남 공주군 이인면 태봉동 원태봉이나 순종황제의 태실이 묻혀 있던 충남 흥성군 구항면 태봉리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서삼릉에 모여 있는 태실

한편, 전국 각 명당자리에 있어야 할 태실이 서삼릉 경내에 54기가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 전국에 흩어져 있던 왕실 태실을 발굴하여 수습하였다. 1928년 9월 10일자 매일신문의 보도문을 보면 창덕궁의 예식과(禮式課)에서 존귀하던 어른들의 태가 무슨 지경에 갈지 모른다고 하여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명산에 묻힌 태실 29기를 파서 경성으로 모셔왔다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조선총독부의 지시로 전국 명당지에 산재되어 있던 태실의 파괴, 손실방지를 위하여 태항아리 39개를 경성으로 옮겨와 현재 종로구 내수동의 지방경찰청 부근에 봉안실을 마련하고 임시 보관 후 추위가 물러가면 서삼릉으로 이전한다. 는 기사가 1929년 3월 1일자 동아일보에 보도되었다. 즉 1929년에 서삼릉으로 이전 된 것으로 보인다. 조성 당시에는 ‘일(日)’ 자형 담장과 일본식 철문으로 되어 있었다가 1995년에 담장과 철문을 철거하고, 1996년에 발굴 조사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태실비석 뒷면에는 언제 옮겨졌는지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고, 일본의 연호를 삭제한 흔적이 남아 있다. 이곳에는 오석(烏石) 비군과 화강석(花崗石) 비군으로 나누어지는데, 오석 비군은 왕과 황제, 황태자의 태실(22기)이고 화강석 비군은 왕실과 황실 가족들의 태실(32기)이다.

숙종의 태를 보관한 태항아리. 외항아리와 내항아리로 구성 되어 있다.

서삼릉 태실 현황

- 왕, 황제, 황태자 태실 (오석(烏石) 비군)

서삼릉 태실 현황
번호태실 주비석 전면기록상 초봉지태실 복원지
1 1대 태조 태조고황제태실 전북 금산군 추부면
(현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1-86
(충남 유형문화재 제131호)
2 2대 정종 정종대왕태실 경북 김천군 대항면
(현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직지사 경내
3 3대 태종 태종대왕태실 경북 성주군 성남면
(현 경북 성주군 성암면 대봉리)
-
4 4대 세종 세종대왕태실 경남 사천군 곤명면
(현 경남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경남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산 27
(경남 기념물 제30호)
5 5대 문종 문종대왕태실 경북 영주군 상리면
(현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산 2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501
(경북 유형문화재 제187호)
6 7대 세조 세조대왕태실 경북 성주군 월항면
(현 경북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경북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산 8
(사적 제444호(세종대왕자태실))
7 8대 예종 예종대왕태실 전북 전주군 구이면
(현 전북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전북 전주 경기전 경내
(전북 민속문화재 제26호)
8 9대 성종 성종대왕태실 경기 광주군 경안면
(현 경기 광주시 태전동)
서울 종로구 창경궁 경내
9 11대 중종 중종대왕태실 경기 가평군 내면
(현 경기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경기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산 112
(가평 향토유적 제6호)
10 12대 인종 인종대왕태실 경북 영천군 청통면
(현 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산 24
(경북 유형문화재 제350호)
11 13대 명종 명종대왕태실 충남 서산군 운산면
(현 충남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충남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산 6
(보물 제1976호)
12 14대 선조 선조대왕태실 충남 부여군 충화면
(현 충남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충남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284
(충남 문화재자료 제117호-태실비)
충남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109-9
(부여 향토유적 제112호-태실비)
13 19대 숙종 숙종대왕태실 충남 공주군 목동면
(현 충남 공주시 태봉동)
충남 공주시 태봉동 산 64
(충남 문화재자료 제321호)
14 20대 경종 - 현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산 34-1
(충북 유형문화재 제6호)
15 21대 영조 영조대왕태실 충북 청주군 낭성면
(현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무성리)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무성리 산 6
(충북 유형문화재 제69호)
16 추존황제 장조 장조의황제태실 경북 영주군 상리면
(현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산 2
17 22대 정조 정조선황제태실 강원 영월군 하동면
(현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산 134
(강원 유형문화재 제114호)
18 23대 순조 순조숙황제태실 충북 보은군 속리면
(현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1
(충북 유형문화재 제11호)
19 24대 헌종 헌종성황제태실 충남 예산군 덕산면
(현 충남 예산군 덕산면 옥계리)
충남 예산군 덕산면 옥계리 산6-2
20 대한제국 2대 순종 순종효황제태실 충남 홍성군 구항면
(현 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
21 의민황태자 이왕전하태실 창덕궁 비원
(현 창덕궁 후원 능허정 부근)
-
22 이구 황세손 왕세자태실 일본 동경부 이왕저 -

- 왕실가족 태실 (화강석(花崗石) 비군)

서삼릉 태실 현황
번호태실 주비석 전면기록상 초봉지태실 복원지
1 인성대군
(예종·장순왕후 남)
인성대군태실 경남 사천군 곤명면
(현 경남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
2 폐비 윤씨
(연산군 생모)
연산군모윤씨태실 경북 예천군 용문면
(현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산83
3 안양군
(성종·귀인정씨 장남)
안양군태실 경북 상주군 모동면
(현 경북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
-
4 완원군
(성종·숙의홍씨 장남)
완원군태실 현 경북 상주군 모동면
(현 경북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
-
5 성종 남
(봉안군으로 추정)
왕자수장태실 경기 양주군 진접면
(현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
6 견성군
(성종·숙의홍씨 3남)
견성군태실 강원 양양군 강현면
(현 강원 양양군 강현면 하복리)
-
7 연산군 원자
(연산군·신씨 장남)
연산군원자금돌이태실 경북 상주군 화서면
(현 경북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
경북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 377-1
8 연산군 대군
(연산군·신씨 남)
연산군자인수태실 경북 문경군 가은면
(현 경북 문경시 가은면 왕릉리)
-
9 연산군 왕녀 영수
(연산군·숙용장씨 녀)
왕녀영수태실 경기 양주군 진접면
(현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
10 연산군 왕녀 복억 연산군녀복억태실 강원 삼척군 삼척면
(현 강원 삼척시 자원동)
-
11 연산군 왕녀 복합 연산군녀복합태실 황해 황주군 인교면
(현 황해 황주시 인교면)
 
12 덕흥대원군
(중종 남, 선조 사친)
덕흥대원군태실 전북 금산군 추부면
(현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금산역사문화박물관
(태실비 및 석함 전시)
13 인성군
(선조·정빈민씨 장남)
인성군태실 충북 청주군 용흥면
(현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산덕리)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산덕리 411
(충북 시도기념물 제86호)
14 인흥군
(선조·정빈민씨 차남)
인흥군태실 경북 상주군 함창면
(현 경북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
15 숙명공주
(효종·인선왕후 3녀)
숙명공주태실 경북 김천군 지례면
(현 경북 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
16 숙정공주
(효종·인선왕후 5녀)
숙정공주태실 강원 원주군 흥업면
(현 강원 원주시 흥업면 대안리)
강원 원주시 흥업면 대안리 산 195-1
17 숙경공주
(효종·인선왕후 6녀)
숙경공주태실 경북 김천군 지례면
(현 경북 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
18 명선공주
(현종·명성왕후 장녀)
명선공주태실 충남 보령군 미산면
(현 충남 보령시 미산면 남심리)
-
19 연령군
(숙종·명빈박씨 남)
연령군태실 충남 예산군 대술면
(현 충남 예산군 대술면 궐곡리)
충남대학교박물관
(태실비 및 석재 유구 일부 전시)
20 화유옹주
(영조·귀인조씨 녀)
영조왕녀태실 충남 당진군 순성면
(현 충남 당진시 순성면 성북리)
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태실비 전시)
21 화령옹주
(영조·숙의문씨 장녀)
영조왕녀태실 충남 예산군 광시면
(현 충남 예산군 광시면 월송리)
예산 대흥군관아 경내
(태실비 및 석함 전시)
22 화길옹주
(영조·숙의문씨 차녀)
영조왕녀태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현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산 58-5
23 의소세손
(장조·헌경황후 장남)
의소세손태실 경북 영주군 영주면
(현 경북 영주시 고현동)
 
24 문효세자
(정조·의빈성씨 남)
문효세자태실 경북 예천군 용문면
(현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산 82
25 철종 원자
(철종·철인황후 남)
철종왕자태실 강원 영월군 양변면
(현 강원 영월군 주천면 신일리)
-
26 덕혜옹주
(고종·귀인양씨 녀)
덕혜옹주태실 창덕궁 비원
(현 창덕궁 후원 부근)
-
27 고종 8남
(고종·광화당 이씨 남)
고종제팔남태실 창덕궁 비원
(현 창덕궁 후원 부근)
-
28 고종 9남
(고종·보현당 정씨 남)
고종제구남태실 창덕궁 비원
(현 창덕궁 후원 부근)
-
29 이진 원손
(의민황태자 장남)
진전하태실 일본 동경부 이왕저 -
30 영산군
(성종·숙용심씨 차남)
영산군태실 연천군 적성면
(현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
-
31 의혜공주
(중종·문정왕후 장녀)
의혜공주태실 부여군 규암면
(현 충남 부여군 규암면 함양리)
충남 부여군 규암면 함양리 97
(태실비 및 석함 / 부여 향토유적 제71호)
32 경평군
(선조·온빈한씨 차남)
경평군태실 충남 대전군 유성면
(현 대전 서구 가수원동)
대전시립박물관
(태함 / 대전 문화재자료 제2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