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의 종류 | 구분 |
---|---|
능(陵) |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 |
원(園) | 왕의 사친(왕을 낳은 후궁이나 왕족), 왕세자와 왕세자빈, 왕세손,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무덤 |
묘(墓) | 나머지 왕족(대군, 군, 공주, 옹주, 후궁)과 폐왕의 무덤 |
대 | 능명 | 능주 | 조성연대 | 형태 |
---|---|---|---|---|
1 | 건원릉(健元陵) | 제1대 태조고황제 | 1408년 | 단릉 |
제릉(齊陵) | 제1대 태조 원비 신의고황후 | 1391년 1392년(봉릉) |
단릉 | |
정릉(貞陵) | 제1대 태조 계비 신덕고황후 | 1409년(이장) | 단릉 | |
2 | 후릉(厚陵) | 제2대 정종과 정안왕후 | 왕:1420년 비:1412년 |
쌍릉 |
3 | 헌릉(獻陵) |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 | 왕:1422년 비:1420년 |
쌍릉 |
4 | 영릉(英陵) | 제4대 세종과 소헌왕후 | 1469년(이장) | 합장릉 |
5 | 현릉(顯陵) | 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 | 왕:1452년 비:1513년(이장) |
동원이강릉 |
6 | 장릉(莊陵) | 제6대 단종 | 1698년(봉릉) | 단릉 |
사릉(思陵) | 제6대 단종비 정순왕후 | 1531년 1698년(봉릉) |
단릉 | |
7 | 광릉(光陵) | 제7대 세조와 정희왕후 | 왕:1468년 비:1483년 |
동원이강릉 |
추존 | 경릉(敬陵) |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 왕:1457년 비:1504년 |
동원이강릉 |
8 | 창릉(昌陵) | 제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 왕:1470년 비:1499년 |
동원이강릉 |
공릉(恭陵) | 제8대 예종원비 장순왕후 | 1461년 1471년(봉릉) |
단릉 | |
9 | 선릉(宣陵) | 제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 왕:1495년 비:1530년 |
동원이강릉 |
순릉(順陵) | 제9대 성종원비 공혜왕후 | 1474년 | 단릉 | |
10 | 연산군묘 | 제10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 왕:1512년(이장) 비:1537년 |
쌍분 |
11 | 정릉(靖陵) | 제11대 중종 | 1562년(이장) | 단릉 |
온릉(溫陵) | 제11대 중종원비 단경왕후 | 1557년 1739년(봉릉) |
단릉 | |
희릉(禧陵) | 제11대 중종1계비 장경왕후 | 1537년(이장) | 단릉 | |
태릉(泰陵) | 제11대 중종2계비 문정왕후 | 1565년 | 단릉 | |
12 | 효릉(孝陵) | 제12대 인종과 인성왕후 | 왕:1545년 비:1578년 |
쌍릉 |
13 | 강릉(康陵) | 제13대 명종과 인순왕후 | 왕:1567년 비:1575년 |
쌍릉 |
14 | 목릉(穆陵) | 제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 |
왕:1630년(이장) 원비:1600년 계비:1632년 |
동원이강릉 |
15 | 광해군묘 | 제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 왕:1641년 비:1623년 |
쌍분 |
추존 | 장릉(章陵) |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 왕:1627(이장) 비:1626 1632년(봉릉) |
쌍릉 |
16 | 장릉(長陵) | 제16대 인조와 원비 인렬왕후 | 1731년(이장) | 합장릉 |
휘릉(徽陵) | 제16대 인조계비 장렬왕후 | 1688년 | 단릉 | |
17 | 영릉(寧陵) | 제17대 효종과 인선왕후 | 왕:1673년(이장) 비:1674년 |
동원상하릉 |
18 | 숭릉(崇陵) | 제18대 현종과 명성왕후 | 왕:1674년 비:1684년 |
쌍릉 |
19 | 명릉(明陵) | 제19대 숙종과 1계비 인현왕후, 2계비 인원왕후 |
왕:1720년 1계비:1701년 2계비:1757년 |
동원이강릉 |
익릉(翼陵) | 제19대 숙종원비 인경왕후 | 1680년 | 단릉 | |
20 | 의릉(懿陵) | 제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 왕:1724년 비:1730년 |
동원상하릉 |
혜릉(惠陵) | 제20대 경종원비 단의왕후 | 1718년 1720년(봉릉) |
단릉 | |
21 | 원릉(元陵) | 제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 왕:1776년 비:1805년 |
쌍릉 |
홍릉(弘陵) | 제21대 영조원비 정성왕후 | 1757년 | 단릉 | |
추존 | 영릉(永陵) |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 | 왕:1728년 비:1751년 1776년(봉릉) |
쌍릉 |
추존 | 융릉(隆陵) |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 왕:1789년(이장) 비:1815년 1899년(봉릉) |
합장릉 |
22 | 건릉(健陵) | 제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 왕:1821년(이장) 비:1821년 |
합장릉 |
23 | 인릉(仁陵) | 제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 왕:1856년(이장) 비:1857년 |
합장릉 |
추존 | 수릉(綏陵) | 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 | 왕:1855년(이장) 비:1890년 |
합장릉 |
24 | 경릉(景陵) | 제24대 헌종성황제와 원비 효현성황후와 계비 효정성황후 |
왕:1849년 원비:1843년 계비:1904년 |
삼연릉 |
25 | 예릉(睿陵) | 제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 | 왕:1864년 비:1878년 |
쌍릉 |
26 | 홍릉(洪陵) |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 | 제:1919년 후:1919년(이장) |
합장릉 |
27 | 유릉(裕陵) |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원후 순명효황후와 계후 순정효황후 |
제:1926년 원후:1926년(이장) 계후:1966년 |
합장릉 |
조선왕릉은 기본적으로 유교예법에 근거한 상설제도에 따라 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봉분의 조성형태에 따라 형태적 차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은 크게 단릉, 쌍릉, 합장릉, 동원이강릉, 동원상하릉, 삼연릉의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단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이다. 대표적으로 태조 건원릉, 단종 장릉, 중종 정릉 등 15기의 능이 있다.
쌍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하나의 곡장 안에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 오른쪽에 왕, 왼쪽에 왕비)의 원칙에 따라 조성하였다. 대표적으로 명종 강릉, 영조 원릉, 철종 예릉 등 9기의 능이 있다.
합장릉은 왕과 왕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능이다. 영조 이전의 합장릉은 혼유석을 2좌씩 배치하였으나 영조 이후에는 혼유석을 1좌씩 배치하였다. 대표적으로 세종 영릉, 인조 장릉, 정조 건릉 등 8기의 능이 있다. 특이하게 순종황제 유릉은 황제와 황후 두 분을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동봉삼실(同封三室) 합장릉이다.
동원이강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과 상설을 조성한 능이다. 최초의 동원이강릉은 세조 광릉이며, 예종 창릉, 성종 선릉 등 7기의 능이 있다. 특이하게 선조 목릉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언덕(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에 별도의 봉분을 조성하였고, 숙종 명릉은 쌍릉(숙종과 인현왕후)과 단릉(인원왕후)의 형태로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을 조성하였다.
동원상하릉은 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 아래로 조성한 능으로, 능혈의 폭이 좁아 왕성한 기가 흐르는 정혈(正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풍수지리적인 이유로 조성하였다. 효종 영릉과 경종 의릉 2기가 해당되며, 왕의 능침에만 곡장을 둘렀다.
삼연릉은 한 언덕에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헌종 경릉이 유일하다.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오른쪽(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왕을 모시고 첫 번째 왕비(효현성황후)와 두 번째 왕비(효정성황후)를 순서대로 모셨다.
단릉 형식은 태조 건원릉부터 시작하여 조선 중기까지 나타나며 18세기 이후에는 거의 볼 수 없다. 쌍릉 형식은 조선시대 전반적으로 고르게 나타나며, 동원이강릉 형식은 세조 광릉을 시작으로 15세기에만 집중되었을 뿐 이후에는 볼 수 없다.
합장릉의 형식은 18세기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능역 조성시 소요되는 경비와 인력을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그 밖에 풍수적인 입지와 공간적으로 협소하여 동원상하릉의 형식과 삼연릉 형식이 나타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