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희망의 새시대

  • 홈으로
  • 어린이문화재청
  • ENGLISH
  • JAPANESE
  • CHINESE
  • 문화재청 페이스북
  • 문화재청 트위터
  • 문화재청블로그
  • 한문화재한지킴이

공지사항

사진뉴스 내용
제목 경주 월성에서 최고(最古)‘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출토
작성자 국가유산청
작성일 2019-04-03 조회수 4049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지난해 추진한 경주 월성(사적 16) 정밀발굴조사 중 해자 내부에서 의례에 사용된 가장 이른 시기(最古) 축소 모형(미니어처) 목재 배 1, 4~5세기에 제작된 가장 온전한 형태의 실물 방패(防牌) 2, 소규모 부대 지휘관 또는 군()을 다스리는 지방관인 당주(幢主)와 곡물이 언급된 문서 목간 1점 등을 발굴하였다.

* 발굴조사 현장: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38 신라월성학술조사단

* 해자(垓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물도랑 또는 못 / 월성 해자는 삼국통일 이전의 수혈해자(47세기)에서, 통일 이후 석축해자(8세기 전후)로 변화

 

방패와 목제 배 등 이번에 공개되는 유물까지 포함해 지금까지 월성의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은 오는 45일부터 62일까지 서울 한성백제박물관(관장 이인숙)에서 열리는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한성백제박물관이 지난 2월 체결한 학술교류 협약을 바탕으로 월성 발굴조사 성과를 널리 알리기 위한 자리이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주 월성 학술조사에 있어서 철저한 고증과 학제 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정기적인 조사성과 공개, 대국민 현장설명회,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술조사의 새로운 장을 열어 가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목록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이전글 문화재지킴이, 항일독립유산 보호 전국 릴레이 시작
다음글 다음글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건국신화 그림 6종’새겨진 토제방울 출토
트위터 페이스북 요즘 미투데이 싸이월드 구글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falseww
메뉴담당자 : 정보화담당관실
창경궁 사적 제12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