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영역

왕의 죽음

왕의 이름

왕이 승하한 지 2년이 자나면 묘호를 신위에 새겨 종묘에 안치한다. 사진은 왕과 왕후의 신위가 안치된 종묘 정전의 감실

왕의 이름

왕이란 군주제가 시행되던 시기의 절대 권력자로서 동서를 막론하고 매우 특별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왕의 이름은 많게는 여섯 개까지 있었다.

태어나면서 붙여지는 이름

일반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왕도 태어나면서 이름이 붙여진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방원(李芳遠), 이도(李祹), 이척(李坧) 등이 왕의 이름이다. 왕의 이름을 보면, 태종, 단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외자를 쓰고 있는데, 여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 임금의 이름은 누구도 함부로 부를 수 없으며, 다른 용도라고 하더라도 왕의 이름에 쓰인 문자를 문서에 쓸 수 없도록 정해져 있었다. 따라서 왕이 될 가능성이 있는 왕자의 이름은 실생활에서 잘 쓰이지 않는 하나의 한자만을 써서 만든 것이다.

관례 때 받는 이름과 성향을 나타내는 이름, 자(字)와 호(號)

조선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성인이 되어 관례를 치르면 원래의 이름 외에 성인으로서의 이름을 다시 부여받게 된다. 이를 ‘자’라고 한다. 이는 원래의 이름을 공경하여 마구 부르기 꺼려하는데서 비롯된 복명속(復命俗 : 두 가지 이상의 이름을 갖는 풍속)을 따른 것이다. 한편 자신이 스스로를 표시하기 위해 붙이거나 스승 또는 친구들이 붙여주는 이름인 호(號)가 있다. 태조의 호는 송헌(松軒), 정조의 호는 홍재(弘齋)이다.

공덕을 기리는 이름, 시호(諡號)와 존호(尊號)

왕이 세상을 떠나면 신하들은 왕의 일생과 업적을 평가하여 그에 알맞은 이름을 지어 올린다. 이를 시호라고 한다. 이때 올리는 시호의 글자수는 8글자가 된다. 그리고 세상을 떠난 왕의 행장을 적어 중국의 황제에게 보내 중국조정에서 시호를 정해준다. 중국에서 받은 시호를 보면 세종의 시호는 장헌(莊憲)이고, 성종의 시호는 강정(康靖)이다. 또한 공덕을 기리기 위해 따로 존호를 지어 올리는데, 시호와 마찬가지로 8글자를 올린다. 존호는 왕이 살아있었을 때와 세상을 떠난 후 모두 올릴 수 있다.

종묘에서 부르는 이름, 묘호(廟號)

왕이 세상을 떠난지 27개월이 지나면, 왕의 신위를 종묘로 모셔오는데, 이 때 ‘종묘에서 부르는 호칭’이라는 의미의 묘호가 정해진다. 태종, 세종, 숙종, 영조 등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왕의 이름이 바로 묘호이다. 묘호 역시 시호와 마찬가지로 왕의 일생을 평가하여 결정하게 된다.
묘호는 시호와 다르게 조(祖) 혹은 종(宗)을 붙여 짓는데, 보통 조는 공이 탁월한 왕에게, 종은 덕이 출중한 왕에게 붙이는 것이 관례이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새로운 종통이 시작되었거나(태조, 세조, 인조), 종(宗)에서 조(祖)로 추존(선조, 영조, 순조), 또는 황제로 추존될 때(정조)는 조(祖)를 사용한다.